1. 점용접 조건의 3대 요소가 아닌 것은?
가. 고유저항 나. 가압력 다. 전류의 세기 라. 통전시간
2.다음 중 용접부에 언더컷이 발생했을 경우 결함 보수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?
가. 드릴로 정지 구멍을 뚫고 다듬질 한다.
나. 절단 작업을 한 다음 재용접한다.
다. 가는 용접봉을 사용하여 보수용접한다.
라. 일부분을 깎아내고 재용접한다.
3.액체 이산화탄소 25kg 용기는 대기 중에서 가스량이 대략 12700L이다. 20 L/min의 유량으로 연속 사용할 경우 사용 가능한 시간(hour)은 약 얼마인가?
가. 60시간 나. 6시간 다. 10시간 라. 1시간
4. 용접에서 변형 교정 방법이 아닌 것은?
가. 얇은 판에 대한 점 수축법
나. 롤러에 거는 방법
다. 형재에 대한 직선 수축법
라. 노내 풀림법
--------------------------풀 이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1. 답: 가.
점용접을 포함한 저항용접의 3요소는 가압력, 전류의 세기, 통전시간이다. 단순암기만이 이문제를 푸는 방식이다. 14년도 이전에는 매우 자주 출제되었던 문제이기에 꼭 외워둘 것.
2. 답: 다
보수용접하는 방법은 최대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.
언더컷: 가는 용접봉을 사용하여 재용접
균열: 정지구멍을 뚫어 재용접
나머지 결함(오버랩, 용입불량, 선상조직, 용락등등)모두 : 깎아내고 재용접
이라고 알고 있으면 풀기 쉬운 문제이다. 자주 나오는 문제이기에 꼭 외워둘 것.
3. 답: 다.
이문제는 액체 용기의 질량보다 가스량과 유량의 관계를 이해해야 한다. 20 L/min은 분당 20L을 사용한다는 뜻이며 용기안에 있는 이산화탄소양은 12700L이다. 그러기 때문에 사용분수를 먼저 구하면
12700 ÷ 20 = 635분이 나온다.
보기는 시간으로 나왔기 때문에 1시간에 60분이라는 인지하고 풀면 635 ÷ 60 = 10.58시간이 나온다.
그러므로 약 10시간인 '다'가 정답이 된다.
4. 정답 : 라.
용접 후 변형 교정 방법에는
(1)박판에 대한 점 수축법
(2)형재에 대한 직선 구축법
(3)가열 후 해머링하는 방법
(4) 두꺼운 판에 대하여 가열 후 압력을 가하고 수랭하는 방법
(5) 롤러에 거는 방법
(6) 피닝법
(7) 절단에 의하여 성형하고 재용접하는 방법
등이 있다. 이것에 해당하지 않는 '라'번이 정답이다.
참고로 노내풀림법은 용접 후 처리에서 응력 제거 열처리법 중에서 가장 잘 이용되고 있는 방법이다.